당신이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면 무기력증 입니다.
1. 만사가 귀찮을때
2. 자신이 하는 일에 회의감이들때
3. 뭘 해도 의욕이 없을때
4. 사는게 재미없고 무감각할때
5. 푹 쉬어도 아무것도 하기 싫을때
이 다섯가지 증상중에 해당하는게 있다면 당신은 인생노잼 시기를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는 왜 무기력증을 느끼는가?
내가 노력의 의미를 단박에 바꾸기 때문입니다. 요즘 같은 팬데믹 시대에는 노력의 주도권이 나에게 없는 것 같은 느낌을 자주 느낄 수 밖에 없고 내가 했던 노력이 어떠한 결과를 만들어 내지 못했을때 무기력증이 올 수 있다고 합니다.
무기력증을 극복하는 방법
첫번째
몸을 움직이기(운동하기)
사진에 보이시는 것처럼 러닝을 하는것도 괜찮고 자전거 타기 헬스장 등등
여러가지 몸을 많이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 엔도르핀이라는 호르몬이 붐비되어 좋다고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생활 속에서 우리 몸에 적극적으로 행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활동입니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 기능적 건강도 개선되며 다양한 암, 우울증의 위험도 줄어든다고 합니다.
그리고 운동은 날씬한 몸매를 갖게 해 줄뿐만 아니라 힘, 근지구력, 심장, 유연성 등을 향상시켜
삶의 질 전반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고 합니다.
두번째
작지만 큰 힘을 주는 것들
무기력할 땐 집안 대청소 국토대장정 이런것들은 피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책상 정리하기, 옷장 서랍 정리하기 등 일상 속 작지만 큰 힘을 주는 것들을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세번째
명상하기
명상에 대해서 어떻게 하는지 모르시는 분들께 간략히 설명드리자면
먼저 조용하고 방해받지 않을 수 있는 편안한 장소를 만들고, 몸의 긴장을 푼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을 확보하고 호흡을 바라보면 된다고 합니다.
명상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불안감을 감소 시킵니다. 그리고 건강한 정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자기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또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네번째
위로보다 격려하는 사람 만나기
사람은 위로 받을때보다 격려 받을때 다시 해볼까 하는 힘이 생긴다고 합니다.
진짜 문제와 싫은 감정이 뒤엉켰을 때 정확한 문제 파악이 어려워 무기력해졌을때
장점과 단점을 분리 해주는 사람을 만났을때 논리에 집중해 다음 행동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위로와 격려는 확연히 다릅니다. 슬픈 상태에 있다면 위로를 해야합니다. 슬픔은 상처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무기력은 상처가 아닙니다. 가야 할 방향을 잠시 잃었을 뿐... 무기력한 나에게 필요한건 격려라고 합니다.
내가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을 정확하게 구분해줄 수 있고 두가지 측면 모두 언급하는 사람을 만나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 글을 읽는 분들이 그런 사람이 되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